손가락을 꾹~♥
블로그를 운영 중이라면 그리고 블로그 방문 인원에 관심이 많다면 한번쯤 들어보거나 봤을 법한 UV와 PV이다.
어느 블로거가 적어도 애드센스로 광고 수익을 받기 위해서는 하루평균 UV가 1000명 , PV가 4000명은 되어야 한다고 한것을 본 적이 있다.
(본인 블로그의 해당 수치 분석을 위해서는 구글분석 을 이용하길 바란다.)
어느 블로거가 적어도 애드센스로 광고 수익을 받기 위해서는 하루평균 UV가 1000명 , PV가 4000명은 되어야 한다고 한것을 본 적이 있다.
(본인 블로그의 해당 수치 분석을 위해서는 구글분석 을 이용하길 바란다.)
1. Unique Vistor(UV)
설정된 기간동안 방문한 순방문자 입니다.
순방문자란 설정된 기간동안 해당사이트를 1회 방문하건, 10회 방문하건, 방문자는 1로 체크가 된다는 것입니다. 순방문자는 코리안클릭이나 매트릭스와 같이 패널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산출하는 조사기관에서 가능한 수치입니다.
K사나 M사는 로그를 보내는 패널마다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디별로 방문횟수에 관계없이 순방문자수만을 뽑아낼 수 있는 것이지요.
순방문자수는 해당 사이트의 인구규모입니다. 사이트의 규모를 파악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지표입니다.
만약 사이트별 자체적으로 로그분석 툴을 통해 방문자 수를 체크할 경우, 로그인을 해야 접근할 수 있는 메뉴에 대해서는 자체분석이 가능할 수 있겠네요.
예를들면 메일메뉴의 경우는 사이트 자체적으로 한 로그분석에서 순방문자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급된 아이디에 따라 로그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로그인 아이디에 따라 순방문자 규모를 체크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로그인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순방문자를 체크하는 것이 힘들겠지요.
2. Page View(PV)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페이지뷰 입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해당 Unique Vistor가 발생시킨 페이지뷰의 총 합입니다. 페이지뷰는 양적인 비교 지표로도 쓸수 있으며, 또 방문자 활동성과 연관해
개인적으로 전 페이지뷰를 "절대"적으로 믿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사이트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페이지뷰는 사이트간 비슷한 메뉴라 하더라도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한페이지에 보여줄 수 있는 메뉴를 2개,3개,4개의 페이지로 나누어 보여준다면, 또 메뉴의 본론에 들어가기까지 여러 페이지를 거쳐야 하는 페이지구성을 만들어 버린다면, 페이지뷰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해서 방문자의 활동성이 크다~라는 결론을 내리기 힘들죠..
페이지뷰를 분석할 때는 해당 사이트, 혹은 해당 메뉴의 UI(User Interface)등을 확인한 후 분석 리포트를 쓰는게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둘째, 서비스간의 페이지뷰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뉴스와 만화는 많은 페이지뷰를 일으킬 수 있는 메뉴입니다. 따라서 사이트간 페이지뷰를 비교할 때, 각 사이트별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가 어떤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많은 페이지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메뉴는 없는지를 확인해 보고, 방문자 활동성에 대한 부분에 활용해 봐야 할 것입니다.
설정된 기간동안 방문한 순방문자 입니다.
순방문자란 설정된 기간동안 해당사이트를 1회 방문하건, 10회 방문하건, 방문자는 1로 체크가 된다는 것입니다. 순방문자는 코리안클릭이나 매트릭스와 같이 패널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산출하는 조사기관에서 가능한 수치입니다.
K사나 M사는 로그를 보내는 패널마다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디별로 방문횟수에 관계없이 순방문자수만을 뽑아낼 수 있는 것이지요.
순방문자수는 해당 사이트의 인구규모입니다. 사이트의 규모를 파악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는 지표입니다.
만약 사이트별 자체적으로 로그분석 툴을 통해 방문자 수를 체크할 경우, 로그인을 해야 접근할 수 있는 메뉴에 대해서는 자체분석이 가능할 수 있겠네요.
예를들면 메일메뉴의 경우는 사이트 자체적으로 한 로그분석에서 순방문자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급된 아이디에 따라 로그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로그인 아이디에 따라 순방문자 규모를 체크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로그인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순방문자를 체크하는 것이 힘들겠지요.
2. Page View(PV)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페이지뷰 입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해당 Unique Vistor가 발생시킨 페이지뷰의 총 합입니다. 페이지뷰는 양적인 비교 지표로도 쓸수 있으며, 또 방문자 활동성과 연관해
개인적으로 전 페이지뷰를 "절대"적으로 믿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사이트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페이지뷰는 사이트간 비슷한 메뉴라 하더라도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한페이지에 보여줄 수 있는 메뉴를 2개,3개,4개의 페이지로 나누어 보여준다면, 또 메뉴의 본론에 들어가기까지 여러 페이지를 거쳐야 하는 페이지구성을 만들어 버린다면, 페이지뷰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해서 방문자의 활동성이 크다~라는 결론을 내리기 힘들죠..
페이지뷰를 분석할 때는 해당 사이트, 혹은 해당 메뉴의 UI(User Interface)등을 확인한 후 분석 리포트를 쓰는게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둘째, 서비스간의 페이지뷰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뉴스와 만화는 많은 페이지뷰를 일으킬 수 있는 메뉴입니다. 따라서 사이트간 페이지뷰를 비교할 때, 각 사이트별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가 어떤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많은 페이지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메뉴는 없는지를 확인해 보고, 방문자 활동성에 대한 부분에 활용해 봐야 할 것입니다.
글이 마음에 드셨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꼭 댓 글을 남겨 주세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손가락 추천 부탁 드려요~!!!
(로그인이 필요 없습니다)
↓↓↓↓↓↓↓